부여에 다녀와서(리틀드림 최치원) > 학습후기

본문 바로가기

부여에 다녀와서(리틀드림 최치원) > 학습후기


문의하기

네이버블로그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커뮤니티 > 학습후기

커뮤니티 목록

학습후기

모둠학습 | 부여에 다녀와서(리틀드림 최치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꿈의교실 작성일22-07-14 14:01 조회4,728회 댓글0건

본문

+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

 

국립부여박물관의 유물: 여자변기, 남자변기(호자), 죽간(목간)

- 금동대향로: 량을 피우는 장치, 천상의 세계부터 지상과 지하를 이어 담은 백제 문화의 최고 걸작

- 창왕명 석조사리감: 스님이 돌아가신 후 사리를 보관하는 곳, 아버지와 아들, 딸의 이야기를 알수 있음

 

정림사지: 정림사지5층석탑-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는 건축물, 각 층이 지붕 모양을 갖추고 있는 하나의 집 형태

 

부소산성: 삼충사-성충, 흥수, 계백 3 명의 충신을 모시는 사당

 

고란사: 백제 말기 창건된 것으로 추정, 원효대사가 창건설, 백제 왕들을 위한 정자 설, 낙화암에서 자결한

궁녀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지었다는 설, 창건에 대한 이견이 많음

 

 

+ 현장학습을 갔다 와서 느낀 점을 적어볼까요?

 

백제는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나라라고 한다. 스스로의 힘으로 나라를 세우고 싶었던

온조가 남쪽으로 와서 백제를 세웠다. 옛날 사람들은 왕을 하늘에서 내려 준다고 생각했었다고 책에서

읽었다. 이렇듯 하늘에서 보낸 왕이여서 더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고 큰 힘을 가질 수 있었다.

또 백성들은 그런 왕이 다스리는 특별한 나라의 백성이라는 자부심도 있었을 것이다.

도읍을 3번씩 옮기며 백제를 지키고 싶었던 왕의 뜻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지켜내려고 노력하는

마음은 나도 본받고, 작은 것부터 실천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꿈의교실 | 대표 : 황상현 | 사업자번호 : 502-25-22861 [사업자 정보확인]
전화 : 053-795-6624 / 010-4090-6624 | 팩스 : 053-795-6624
주소 : (42256)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138(3층) 꿈의교실 | 이메일 : www-hwang@daum.net

Copyright © 꿈의교실. All rights reserved.
꿈의여행 꿈의교실